중국이 한국 단체관광 금지를 일부 해제했지만, 다음 달 한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취한 생색내기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경제효과도 제한적일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박성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중국이 한국 단체관광 제한을 푸는 지역은 베이징시와 산둥성만 해당합니다.
지난해 두 지역에서 한국으로 온 중국 관광객은 242만 명으로 전체 806만 명의 30%에 불과합니다.
한국 방문 관광객을 가장 많이 유치해온 상하이와 광저우 등에서는 모집이 여전히 금지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관광객 모집 비중이 훨씬 더 큰 온라인 판매가 묶인 점도 주목됩니다.
전세기와 크루즈 금지가 풀리지 않은 것도 문제입니다.
전세기를 띄우지 못하면 단체관광 좌석을 대량으로 확보하기 어렵고 가격 측면에서도 상품 구성이 어려워지며, 단체관광객이 지방으로 이동하는 데도 큰 지장을 줍니다.
특히 국내 1위의 롯데 면세점 등에 대한 이용 금지는 단체관광 복귀 효과를 떨어뜨려 경제적 실익이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관광공사 관계자는 단체관광 상품도 새로 만들어야 하고, 이직했던 여행사 직원들도 돌아와야 하는 점을 고려하면 내년 상반기에 정상화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이 금한령 일부 해제를 1차 조치라고 발표한 만큼 단체관광은 단계적으로 더 풀릴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의 반쪽짜리 해금은 다음 달 베이징 한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나온 '성의 표시' 정도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이 또한 앞으로 정치·외교·안보적인 여건에 따라 중국 당국의 정책이 바뀔 수도 있는 대목입니다.
YTN 박성호[shpark@ytn.co.kr]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2_20171129103337194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