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prise Me!

방패가 없다...교사들이 꼽은 대책은? [앵커리포트] / YTN

2023-07-26 238 Dailymotion

교사들이 단체로 거리로 나가고 인터뷰를 하는 건 전에 없던 일입니다.

극단적 선택을 한 서이초 교사에 공감하고 그동안 참았다는 걸 반증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말하지 못했던 얘기들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보시는 건 초등학교 교사노조가 조사한 결과입니다.

2천300명 정도 응답했는데 99.2%가 교권침해를 당한 적이 있다고 했습니다.

어떤 게 교사들을 힘들게 했는지 유형을 보겠습니다.

학부모의 악성 민원이 가장 많았습니다.

학생들이 무시하고 반항한다는 거, 폭언과 폭행도 있었습니다.

중복해서 답변했기 때문에 딱 잘라서 비교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한가지 해석은 가능할 거 같습니다.

아이들 반항보다는 학부모의 악성 민원이, 또 학생보다는 학부모 폭언이 더 힘들었다고 읽을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의 특성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현재 여기까지 의뢰완료돼있습니다

다른 조사 하나 보겠습니다.

이건 전교조가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교사 만 4천명 정도를 조사한 결과입니다.

민원이 있을 때, 누구한테 의지하고 도움을 받았는지 물었습니다.

동료 교사가 절반을 훌쩍 넘었고요.

5명 중 1명 정도만 교장이나 교감, 교육청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홀로 버텼다는 사람이 10명 중 3명 정도라는 점도 눈에 띕니다.

이걸 반대로 뒤집으면 교사들이 생각하는 대책이 됩니다.

교사들은 교육청이, 학교가 적극적으로 나서주길 바라고 있습니다.

교육감의 고발을 법제화하는 게 제일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관리자가 민원에 대응해야 한다는 것도 비슷한 맥락으로 보입니다.

지금 있는 제도로는 어려울까.

지금 보시는 건 어떤 게 교권을 침해하는 행위인지 정리한 교육부 고시 내용입니다.

교사들이 부당함을 호소하는 내용들이 대부분 포함돼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보면 이런 법과 제도에 뭘 얼마나 더 추가하는지도 중요할 수 있지만,

교사들은 누군가, 뭔가를 해주길 바랍니다.

선생님은 아이들을 가르칩니다.

학부모를 안내하고 설명할 수 있지만 민원의 창구가 되면 안 된다는 공감대가 있습니다.

이런 의견이 어떻게 반영될지 정부 대책을 지켜봐야겠습니다.




YTN 김영수 (yskim2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30726130639736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