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prise Me!

국제 금값 3일째 사상 최고치 경신...안전 자산 수요 지속 / YTN

2025-09-04 3 Dailymotion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주요 선진국의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로 국제 금 시세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며 3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 기록을 갈아치웠습니다.

뉴욕 상업 거래소에서 9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는 온스당 3,593.2달러로 전장 대비 1.2% 올라 최근 월물 기준으로 3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금 선물 가격은 올해 들어서만 37% 급등하며 파죽지세로 상승 랠리를 펼치고 있고, 금 현물 가격도 역대 최고치를 다시 돌파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금 현물 가격이 미 동부시간 오후 2시 25분 기준 온스당 3,576.59달러로 전장 대비 1.2% 올랐고, 장중 온스당 3,578.5달러까지 오르며 종전 최고점 기록을 다시 썼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주요 선진국에 대한 재정 건전성 우려로 국제 채권 시장에 변동성이 커져 안전 자산인 금으로 투자 수요가 쏠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시장 분석가를 인용해 세계 중앙은행들이 미국 국채 대신 금 매입을 늘린 게 최근 금값 상승에 부분적으로 기여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미국 국채는 연방 정부의 재정 건전성 우려와 중앙은행 독립성 우려가 겹쳐 장기물을 중심으로 수익률이 상승하는 등 시장 변동성이 커진 상태입니다.

채권 수익률과 채권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채권 수익률의 상승은 채권 가격의 하락을 의미합니다.

전자 거래 업체인 트레이드 웹에서 3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미 동부 시간 기준 새벽 한때 5% 선을 잠시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30년물 수익률은 이후 반락해 오후 3시 반쯤 4.9%로 전장 대비 0.07%포인트 하락한 채 거래가 이뤄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노동 시장 약화 우려가 커진 것도 금값 강세 지속에 주된 동인이 됐습니다.

미국 노동부가 공개한 구인·이직 보고서(JOLTS)에서 7월 미국의 구인 건수는 718만 천 건으로 지난해 9월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적은 수준으로 떨어졌고, 전문가 전망도 크게 밑돌았습니다.

구인 건수의 하락은 관세 정책에 따른 경기 불확실성 등을 이유로 기업들이 신규 채용에 더욱 신중해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노동 시장 약화 우려에 9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은 더욱 높아졌습니다.

금리 선물 시장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25%... (중략)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904063005229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